2024년 04월 23일 화요일
뉴스홈 사회/사건/사고
경주 황남동 120-2 고분의 주인은 누굴까?

[대전세종충남=아시아뉴스통신] 이광희기자 송고시간 2020-09-03 12:18

-금동관, 금드리게, 금귀걸이, 가슴걸이 등 쏟아져
-묻힌 인물이 착용한 6세기 전반 그대로 발굴 
경주 황남동 고분 120-2호에서 발굴된 긍동관 등 발굴모습
[아시아뉴스통신=이광희 기자]
  지난 5월 시신이 있는 자리에서 금동신발과 금동 달개 일부가 확인되었던 경주 황남동 고분에서 금동관과 금드리개, 금귀걸이, 가슴걸이, 은허리띠, 은팔찌, 구슬팔찌, 은반지 등이 묻힌 인물이 착용한 상태 그대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이곳에 묻힌 인물의 지위에 대한 궁금증이 가중되고 있다.

문화재청은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의 하나로 지난 2018년부터 경주 황남동 120호 고분 발굴조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이 고분 봉토를 파괴하고 축조된 120-2호 고분에서 금동관 등 유물이 대거 쏟아졌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이번 정밀 발굴조사에서 이곳에 묻힌 인물이 머리부터 발치까지 전신에 착장했던 금동관 등이 6세기 전반에 제작된 장신구 일체라는 것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경주 황남동 120-2호 고분 피장자 전신 꾸미게 착장모습 발굴현장

이번에 발굴된 피장자가 금동으로 만든 관을 머리 부분에 착장했고, 굵은고리귀걸이를 양쪽에 하고 있으며, 금동신발을 신고 있었다. 

경주 지역의 돌무지덧널무덤에서 피장자가 신발을 착장한 사례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리고 관과 귀걸이, 가슴걸이, 허리띠, 팔찌, 반지, 신발이 일괄로 출토된 것은 1973년∼1975년 황남대총 이후 처음이며, 이렇게 피장자의 장신구를 착장 상태 그대로 전체 노출시켜 공개하는 것도 처음이다.
경주 황남동 120-2호 고분 발굴모습

  금동 달개 일부가 5월에 먼저 노출되었던 피장자의 머리 부분에서는 최종적으로 금동관이 확인됐다. 
금동관은 가장 아래에 머리에 관을 쓸 수 있도록 둥글게 만든 띠인 관테가 있으며, 그 위에 3단의 나뭇가지모양 세움장식 3개와 사슴뿔모양 세움장식 2개를 덧붙여 세운 형태이다. 

관테에는 거꾸로 된 하트 모양의 장식용 구멍이 정연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나뭇가지모양 세움장식의 끝 부분에도 거꾸로 된 하트 모양의 구멍이 뚫려 있다. 
금동관의 관테에는 곱은옥(곡옥)과 금구슬로 이루어진 금드리개가 양쪽에 달려 있다. 관테와 세움장식 사이에는 ‘ㅜ, ㅗ’ 모양의 무늬가 뚫린 투조판이 있는데, 세움장식의 상단에서도 투조판의 흔적이 일부 확인됐다. 

이 투조판이 관모인지, 금동관을 장식하기 위한 용도였는지는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밝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주 황남동 120-2호 고분 오른쪽 팔찌 발굴모습

금동관의 관테에 장식용 구멍이 뚫려있는 것은 첫 사례로 현재까지 출토된 경주 지역의 금동관 가운데 가장 화려하다. 

  금동관 아래에서는 금으로 제작한 굵은고리귀걸이 1쌍과 남색 구슬을 4줄로 엮어 만든 가슴걸이가 확인됐다.
그 아래에서는 은허리띠와 허리띠의 양 끝부분에서 4점이 묶음을 이룬 은팔찌, 은반지도 확인됐다. 
오른팔 팔찌 표면에서는 크기 1㎜ 내외의 노란색 구슬이 500점 넘게 출토되어 작은 구슬로 이루어진 구슬팔찌를 은팔찌와 함께 끼고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은반지는 오른손에서 5점, 왼손에서는 1점이 출토되었는데, 왼손 부분을 완전히 노출시키기 않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조사가 이루어지면 왼손 부분에서 은반지가 더 출토될 가능성도 있으며, 천마총의 피장자처럼 각 손가락마다 반지를 꼈을 가능성도 있다. 
경주 황남동 120-2호 고분 금동신발 발굴모습

금동신발은 ‘ㅜ, ㅗ’ 모양의 무늬를 번갈아가며 뚫은 앞판과 달리 뒤판은 무늬를 새기지 않은 사각의 방형판으로 마감한 형태였다. 참고로 1960년 의성 탑리 고분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금동신발이 출토된 적이 있다. 

  금동관의 중앙부에서 금동신발의 뒤꿈치까지의 길이가 176㎝인 것으로 보아 피장자의 키는 170㎝ 내외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 신라왕경사업추진단은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피장자의 성별 등을 포함해 추가로 더 밝힐 수 있는 것이 있는지를 확인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은허리띠의 드리개 연결부가 삼각 모양인 점, 부장칸에서 출토된 철솥의 좌·우에 고리 자루 모양의 손잡이가 부착된 점 등 기존에 보기 어려웠던 새로운 자료가 많아서 추후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면 다양한 논의가 더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 신라왕경사업추진단은 이번에 확인한 장신구 등 다양한 유물을 3일 오후 2시 문화재청 유튜브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댓글로 제시되는 궁금증에 대해 학예연구사들이 실시간으로 답변하는 온라인 발굴현장 설명회를 개최한다. 
2kwang2hanmail.net

[ 저작권자 © 아시아뉴스통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제보전화 : 1644-3331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의견쓰기

댓글 작성을 위해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 시 주민번호를 요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