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훈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 대변인./아시아뉴스통신DB |
[아시아뉴스통신=고정언 기자]12·29 항공참사를 계기로, ‘참사 원인 등 진상규명과 피해자 배상, 전남도 내 공항의 안전강화 대책 수립’이 최우선 돼야 하지만, 지난 6일 발표된 전남도의 ‘무안공항 추모공원 조성’ 추진계획은 본말이 뒤바뀐 관 주도의 일방적 추진계획에 불과하다.
12·29 항공참사는, 국가와 지역사회가 결코 잊어서는 안 될 비극으로, 이를 기리는 추모 공간은 필요하지만, 제대로 된 참사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충분한 피해자 배상과 지원 등 시급한 문제들을 해결한 뒤에, 희생자들과 지역사회의 목소리를 수렴하고 충분한 논의를 거쳐 추진하는 것이 순서라 할 것이다.
그러나 전남도가 밝힌 7만㎡ 규모, 460억원 예산의 추모공원 조성계획은, 실질적 위로와 재발 방지 대책보다는 거대한 시설물과 구체적 계획 없는 예산 추정으로, 희생자나 지역사회의 공감대 없이 관 주도로 일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의구심을 버릴 수 없고, 이 경우 추모공원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할 것이다.
추모공간이 피해 유가족들에게 진정한 치유 공간이 되려면, 참사원인과 책임소재 등이 낱낱이 밝혀지고, 이를 통해 충분한 피해자 배상과 지원, 재발방지를 위한 항공 안전 강화 같은 본질적 문제 해결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 시설이 열악한 지역 내 공항들의 안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은 채, 보여주기식 외형적 사업에 집중하는 것은, 이번 항공참사 대책의 본질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비춰질 것이다.
특히 전남 동부권의 여수공항은 짧은 활주로와 로컬라이저 등으로, 무안공항보다 훤씬 열악한 여건으로, 근본적 대책이 강구되지 않는 한, 다른 비극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럼에도 전남도는 무안공항과 여수공항의 시설 확충 등 안전운영 문제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어, 사고 재발방지에는 관심이 없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179명의 희생자를 낳은 12.29 항공참사 피해 가족들의 눈물은 아직 마르지 않았다.
다시 한번 12.29 제주항공 참사 피해 가족들에게 진심어린 애도와 위로를 전하고자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여․야가 합의하여 구성한 국회 항공참사 특위가, 유가족들과 함께, 참사 원인과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규명하고, 실효적인 재발방지 대책을 세우고, 특별법을 제정해 유가족들에게 충분한 지원이 이뤄지고 실질적인 추모사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전남도는 추모공원이라는 조형물을 세우는 것보다, 도내 공항들의 안전운항을 위한 시설보강 등을 최우선하면서, 무안공항 폐쇄에 따라 피해를 입은 여행사와 조업사 등 지역의 소상공인들에 대한 실질적 지원 대책도 함께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
jugo333@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