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창희 경기성남중원경찰서 경비교통과 경사
유창희 경기성남중원경찰서 경비교통과 경사.(사진제공=중원경찰서) 쇠파이프를 휘두르거나 돌을 던지던 과격한 집회 및 시위는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최근에는 높아진 시민의식에 따라 대체로 평화롭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집회에서 도로 ... 2015-10-28
배성진 울진경찰서 정보보안과(사진제공=울진경찰서) 학창시절을 떠올리면 인자하신 선생님과 교실에서 함께 우정을 쌓아간 친구들이 생각나며 행복한 학창시절을 보낸 추억이 떠오른다는 것은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그러나 4대 악(惡)의 하나인 ... 2015-10-28
대전서부경찰서 경비교통과 경사 이훈희./아시아뉴스통신DB 현재 유럽은 급증하는 난민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 대다수 EU(유럽연합) 회원국이 난민 수용에 미온적이지만 독일의 경우에는 적극적인 수용정책을 표방하고 있다. 난민 문제는 정... 2015-10-28
충남지방경찰청 경비교통과 경장 박종성.(사진제공=충남지방경찰청) ‘데모’라는 사전적 의미는 ‘어떤 주장이나 뜻을 나타내거나 관철하기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행진이나 시위를 함’이라고 나와 있고 또 다른 의미는 ‘어... 2015-10-28
공주경찰서 경비교통과 경위 임진영.(사진제공=충남지방경찰청) 집회시위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경찰은 이러한 집회 현장에서 최소한의 질서유지를 위해 폴리스라인 즉 질서유지선을 설치하고 집회참가자에게는 집회의 자유를 보장해 ... 2015-10-28
강릉경찰서 경비계 경사 김완기
중국의 고사성어인 역지사지(易地思之)는 맹자의 이루편(離壘編)의 상(上)에 나오는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이라는 표현에서 비롯되었다. 태평시대에 살았던 우임금과 후직(중국에서 농업의 신으로 숭배되는 인물)의 행동과 난세에 살았던 공자의 제자 안회의 행동이 서로 처지가 바뀌었더라도 모두 같게 행동했을 ... 2015-10-28
속초경찰서 경비교통과 경장 함용두
국민의식의 향상과 개인 또는 단체의 이익을 대변할 통로가 개방되면서 우리 주변 어디에서나 집회가 개최되고 있다. 과거에 흔히 볼 수 있었던 불법폭력시위 및 강제진압과 같은 모습은 이제 찾아보기 쉽지 않다. 국민의식 향상과 더불어 집회시위문화 의식개선으로 건전한 집회문화가 정착되고 있는 것이다. 집... 2015-10-28
8년 전, 신임순경으로 지구대에 발령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의 일이다. 병점역 앞에 있었던 지구대에는 유난히도 주취자가 많이 찾아오곤 했다. 그 날 밤에도 어김없이 한 남성이 들어왔다. 30대로 보이는 젊은 남성은 술에 취해 아무런 이유 없이 경찰관에게 욕설을 하고 난동을 피우기 시작했다. 지구대 ... 2015-10-28
아산경찰서 경무과 경사 이태룡.(사진제공=아산경찰서) 학교폭력이란 단어가 우리 사회 청소년 문제에서 사회문제로 자리 잡은 지도 10년이란 시간이 지났다. 아마도 2005년 학교폭력이란 단어로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청소년들도 이제는 어엿한... 2015-10-28
경기경찰청 시흥경찰서 경비작전계장 경위 이용범.(사진제공=시흥경찰서) ‘헌법 제21조 모든 국민은 언론 출판의 자유와 집회 결사의 자유를 가진다’ 우리나라 국민이라 하면 헌법에 의해 집회 결사의 자유권을 보장받는다. 하지만 이렇게 보... 2015-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