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6일 금요일
뉴스홈 인터뷰
[스마트시티 ②] 대전스마트도시통합센터, “시민 안전 중심 스마트도시 운영”

[대전세종충남=아시아뉴스통신] 이기종기자 송고시간 2019-07-26 10:01

- 2005년 U-시티 정책으로 출발해 스마트도시통합센터 구축
- 112·119 출동, 재난상황 대응, 법무부 전자발찌 등 시민안전망 통합 운영
대전시 김인기 스마트시티담당관은 스마트도시통합센터 운영의 목적과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아시아뉴스통신=이기종 기자

현 정부의 대표적인 도시정책 중 하나는 ‘스마트 시티(Smart City)’이며 이 정책이 가지는 첨단 과학도시의 편리성과 미래적인 가치의 실현이라는 기대가 시민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2000년경 시작된 U시티(U-city)와 이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시티 개념은 아직 구체적이지 않고 그에 따른 인식도 다양하며 도시화 정책 중심으로 추진돼 도시와 비도시의 불균형 등 정치사회적인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는 신규-기존-노후 3단계로 나눠 맞춤형 스마트시티 구성 중심의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을 발표했고 대전시도 스마트시티 챌린지사업 추진단의 발대식을 가졌다.

대전시는 그동안 도시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도시통합센터를 운영해 오고 있어 김인기 스마트시티담당관을 만나 스마트도시통합센터의 기능과 역할, 향후 과제 등을 살펴본다.<편집자 주>

- ‘스마트도시통합센터’ 란?

▷ 대전시는 전국 최초이며 유일하게 ‘스마트도시통합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 통합센터는 CCTV통합관제, 교통관리, 지역정보통합(IDC), 사이버침해대응 센터 등의 기능과 역할을 한다.

특히 무정전 인프라, 광역 통신망 등의 여건을 갖추고 있다.

이 통합센터에는 차별화된 스마트시티 추진조직 보유하고 있는데 스마트시티 영역의 다양성을 감안, 스마트시티 전담조직인 ‘스마트시티담당관’이 스마트시티팀을 운영하고 있다.
 
대전시 스마트도시통합센터의 운영방향./아시아뉴스통신=이기종 기자

- 스마트도시통합센터 운영 현황은?

▷ 현재 스마트도시통합센터에는 전국 최초로 통합플랫폼 기반 ‘시민안전 5대 연계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이 5대 서비스에는 119긴급출동, 112긴급출동, 재난상황대응, 사회약자 지원 등이 있다.

특히 광역 CCTV통합, 광역기관 간 단일접점으로 112, 119, 재난상황실 간 통신망(One-Point 접속)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리 센터에서는 통신회선 연결성, 보안취약 등을 해결하고 안정된 지원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버스, 택시 등 이동수단에 대한 LTE 실시간 궤적을 추적하고 DSRC 하이패스 정보수집, 15년간의 50여 종, 680여 만건 등 교통 빅데이터 보유하고 있다.

- 스마트시티 구축 현황은?

▷ 스마트시티의 시작은 2005년 ‘유-시티’ 정책에서 출발한다.

대전시는 2005년 ‘도안 신도시’ 지역의 도시개발 사업을 차별화된 기반시설과 서비스를 추가해 구축하도록 승인을 받으면서 ‘유-시티’ 구축사업이 시작됐다.

도안 신도시 구축 사업은 교통서비스와 CCTV 설치, 방범서비스, 자가 광통신망 구축, 통합센터 건립 등을 추진했다.

또 이 신도시 사업을 추진하면서 기존도시와 신도시의 서비스 격차를 없애면서 공평하고 지속가능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광역 행정구역 전체를 통합 관제하는 서비스의 구축을 추진하게 됐다.

이후 광역자치단체 중 최초로 스마트도시통합센터를 구축해 물리적인 공간통합을 했다.

현재는 도안 신도시 스마트시티, 광역통합 CCTV관제 운영, 스마트시티 시민안전 5대 연계 서비스, 시민공영자전거 ‘타슈’ 등 24종의 다양한 스마트시티 서비스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전자발찌 부착자의 이상 징후을 발견할 경우 법무부 위치추적센터에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실시간 소재 확인, 출동시간 단축 등을 할 수 있는 법무부 위치추적센터 긴급영상서비스를 개시했다.
 
스마트 시티(Smart City) 정책 추진 이전 대전시가 도안 신도시 지역에 추진한 ‘U-시티’ 정책 이정표./아시아뉴스통신=이기종 기자
 
- 스마트시티 구축의 발전과제는?

▷ 스마트시티의 체계적인 조성을 위한 ‘스마트시티 프레임’을 구축하고 이러한 체계적인 프레임으로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해 스마트시티 서비스가 활성화가 되도록 지원할 것이다.

여기에는 도시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영역’, 수집 된 정보를 한곳으로 모아주는 ‘통신 영역’, 모아진 데이터를 저장·통합·분석하는 ‘데이터 영역’,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창출하는 ‘서비스 영역’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체계적인 ‘스마트시티 프레임’을 통해 첫째,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적인 스마트시티를 실현하고 스마트시티는 데이터의 역할을 확대할 것이다.

도시의 데이터를 한 곳으로 모으고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해서 도시의 문제와 시민들의 욕구(Needs)를 찾아내서 과학적인 해결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데이터 개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서 창업과 일자리로 연결할 수 있도록 산·학·연·관 이 협업하여 운영하는 ‘데이터 오픈 랩’을 만들어서 지원할 계획이다.

둘째, 스마트시티는 시민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

대전시의 민선7기 시정 목표인 ‘새로운 대전 시민의 힘으로’에서 보듯 우리는 시민을 스마트시티의 주요 고객이자 성공적인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핵심주체로 생각한다.

이를 위해 시민이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체험과 평가를 통해 그 결과가 환류(Feedback)되어 품질을 높여 나감으로써 스마트시티 시장이 열리게 될 것으로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민의 시정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금년 조직 개편에서 ‘공동체지원국’을 신설했다.

앞으로 스마트시티는 시민에 의해서 시민을 위한 서비스가 만들어 질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다.

셋째, 대전시는 ‘대덕 연구개발 특구’를 중심으로 전국 최다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석박사급 우수인력을 보유한 과학기술도시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대전시가 산업화로 누적된 도시형 문제, 예측할 수 없는 기후변화로 인한 3대 하천의 범람문제, 급속한 노령화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우리는 이 문제를 대덕 연구개발 특구의 차별화된 스마트시티 기술력과 시민 참여를 기반으로 해결함으로써 대한민국 대표 과학기술도시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세계 선도형의 스마트시티를 조성할 것이다.
 
시민의 안전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는 스마트도시통합센터 김인기 스마트시티담당관과 센터 요원./아시아뉴스통신=이기종 기자
 
-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 우리는 대전형 스마트시티가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서비스를 담아낼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특히 대전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메카인 대덕연구개발 특구가 있어 여기에서 개발된 기술을 활용하고 상용화 서비스를 실현하는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앞으로 시민이 체험을 통해 평가한 좋은 기술과 서비스는 확대하고 4차 산업혁명의 시장이 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마트시티의 역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 저작권자 © 아시아뉴스통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제보전화 : 1644-3331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의견쓰기

댓글 작성을 위해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 시 주민번호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실시간 급상승 정보

포토뉴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