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2월 04일 월요일
뉴스홈 산업/경제/기업
DGIST 예경무 교수팀, 차세대 면역 항암 치료 기술 개발

[대구경북=아시아뉴스통신] 윤석원기자 송고시간 2022-11-24 08:57

면역세포의 지휘자인 헬퍼 T세포를 활용한 차세대 면역 항암 기술 개발
DGIST 뉴바이올로지학과 예경무 교수(왼쪽부터), 신상희 석박통합과정생, 정인성 석박통합과정생.(사진제공=DGIST)

[아시아뉴스통신=윤석원 기자] DGIST(총장 국양) 뉴바이올로지학과 예경무 교수팀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백문창 교수팀이 '신개념 면역 항암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의 화학항암제는 암세포를 단순히 사멸하는 정도에 그치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헬퍼 T 세포(CD4+ T cells)에서 분비된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기술로 환자의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해 흑색종과 같은 고형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면서, 암세포 억제까지 가능한 '차세대 면역 항암 기술'이라 볼 수 있다.
 
현재까지 세포외소포체를 이용한 치료 방법은 주로 중배엽 줄기세포의 세포외소포체를 활용한 면역억제 치료 또는 일반 세포외소포체에 화학항암제를 넣어 특정 부위에 전달하는 이른바 'drug delivery'를 위한 목적으로 개발됐다. 하지만 최근 새로운 연구들을 통해 T세포에서 유래된 세포외소포체가 항암 효능(종양 발달 억제)이 있다는 증거가 발견되고 있다.

T세포는 세포성 면역을 담당하는 림프구의 일종으로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구분돼 지는데, 헬퍼 T세포는 다른 면역 세포들을 활성화시키고 지휘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세포독성 T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 종양 세포, 기능이 손상된 세포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예경무 교수팀은 항암 기능의 잠재력이 매우 높지만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없었던 헬퍼 T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체를 주목했고, 이것이 세포독성 T세포의 활성과 증식을 유도해 결국 흑색종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헬퍼 T세포에 인터류킨-2와 같은 면역 활성 유도 사이토카인을 처리하면 세포외소포체가 보다 더 강력한 항암 효능을 나타냈다.

연구 결과 헬퍼 T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체는 비단 흑생종 치료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난치성 암 치료 외에 세포외소포체를 활용한 단독 치료뿐만 아니라 기존의 화학 항암제나 면역 항암 항체 치료제 등과 함께 활용될 수 있어 면역항암제로서의 응용 잠재력이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경무 교수는 "신개념의 항암 치료 기술 개발을 위해 공동연구를 수행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백문창 교수님, DGIST 신상희 학생, 정인성 학생에게 감사드리며, 난치성 암 치료의 새로운 돌파구로 활용돼 암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단의 지원을 통해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Biomaterials'에 게재됐다.

seok193@daum.net

[ 저작권자 © 아시아뉴스통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제보전화 : 1644-3331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의견쓰기

댓글 작성을 위해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 시 주민번호를 요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