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조승래 SNS) |
[아시아뉴스통신=나수지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윤석열 대통령의 담화와 관련해 입장을 밝혔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7일 브리핑에서 "대통력직을 유지하는 그 어떤 대안도 인정할 수 없다. 유일한 해법은 즉각적인 사퇴다."라고 말했다.
(사진제공=대통령실) |
이어 "이를 거부할 시 국회는 윤 대통령을 탄핵할 것이다. 내란 수괴가 더 이상 대통령의 직을 수행하도록 용납할 수는 없다. 윤 대통령이 초래한 내란은 지금도 진행중이고, 언제든 제2, 3의 계엄을 시도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이 그런 위기에 직면하도록 방치할 수는 없다. 윤석열이라는 존재 그 자체가 대한민국을 위기에 빠뜨리고 국민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다시 한 번 말씀 드린다. 유일한 해법은 즉각적인 사퇴다."라고 전했다.
(사진출처=조승래 SNS) |
앞서 이날 윤 대통령은 대국민담화에서 "이번 비상계엄 선포는 국정 최종책임자인 대통령으로서의 절박함에서 비롯됐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국민들께 불안과 불편을 끼쳐드렸다.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많이 놀라셨을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라고 말했다.
이어 "저는 이번 계엄 선포와 관련해 법적, 정치적 문제를 회피하지 않겠다."라며 "또다시 계엄이 발령될 것이라는 얘기들이 있다만 분명하게 말씀드린다. 제2의 계엄과 같은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사진제공=대통령실) |
한편, 이날 오후 5시부터 김건희 여사 특검법,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이 예정되어 있다.
대한민국 헌정 사상 노무현 전 대통령,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역대 세 번째 대통령 탄핵 표결이다.
노무현·박근혜/아시아뉴스통신 DB |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일 밤 긴급 브리핑을 열고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그러나 국회의원들은 곧바로 국회에 모여 본회의를 열었고 4일 새벽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국회/아시아뉴스통신 DB |
이날 본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재석 190명, 찬성 190명으로 가결됐다.
결국 윤 대통령은 브리핑을 통해 비상계엄 해제를 선언했다.
아시아뉴스통신 DB |
이후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개혁신당,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 등 6개 야당은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요건은 '재적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다.
범야권 의석이 192석인 것을 고려하면 여당에서 최소 8표의 이탈표가 나와야 탄핵안이 가결된다.
조경태·안철수/아시아뉴스통신 DB |
현재 여당에서 조경태, 안철수 의원 등이 탄핵 찬성 입장을 밝혔다.
친한계 일부 의원도 탄핵 찬성 투표를 고민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제공=대통령실) |
그런 가운데 국민 10명 중 7명이 윤 대통령의 탄핵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가 나와 눈길을 끌었다.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4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5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번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윤 대통령의 탄핵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73.6%(매우 찬성 65.8%, 찬성하는 편 7.7%)로 나타났다.
'반대한다'는 응답은 24.0%(매우 반대 15.0%, 반대하는 편 8.9%)로 집계됐다. 2.4%는 의견을 유보했다.
(사진제공=대통령실) |
이 조사는 무선(97%) 및 유선(3%) 무작위 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전체 응답률은 4.8%로 최종 504명이 응답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