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영희 보훈팀장.(사진제공=창원보혼지청) |
국가보훈의 의미는 나라를 위해 희생하고 공헌한 국가유공자의 명예로운 삶을 보장하고, 그 희생과 공헌이 헛되지 않도록 호국정신을 함양하고 평화통일을 이룩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은 그동안 외세의 끊임없는 침략에도 맞서 싸우며 자신보다 국가와 민족을 위해 희생하신 분들 덕분에 발전과 도약을 이뤄 나갔다.
그 숱한 압박과 외침에서도 스스로 꼿꼿하게 자존을 지켜왔고, 척박한 땅을 일구어 푸른 숲과 나락을 심어 빈곤과 외국의 원조에서 스스로 벗어나 이제는 세계 강대국으로 발돋움 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세계 유일의 70년 분단국으로 북한과 군사 대결뿐만 아니라 이념대결을 하고 있다.
이 두 가지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우리 국민이 애국심을 바탕으로 안보의식과 호국정신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역사를 통해 애국지사와 호국영웅들이 어떻게 나라를 찾고 지켰는지를 배우고, 그 정신을 본받아 이 시대의 국가안보상황에 대비하는 호국정신을 가져야 하며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국가보훈의 출발점이다.
국가보훈처는 ‘호국정신’이란 다양한 안보상황에 대비해 국민이 나라를 지키려는 정신이라고 할 수 있는데, 국가보훈처에서는 국민 호국정신 함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첫째, 호국영웅 명비 등 추모시설 건립과 도로명, 주요 국공립 시설 등에 호국영웅 명칭을 부여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와 협업을 통해 태극기 거리를 조성했다.
셋째, 유엔 참전용사 초청과 위로행사 개최 등을 통해 유엔참전국과의 보훈외교를 추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전문 강사의 나라사랑 강연, 현충시설 탐방 등 나라사랑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나라사랑 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호국정신 함양을 위한 나라사랑 교육의 지속 추진을 위해서는 예산 확보가 선제돼야 한다.
우리나라의 사회갈등 비용은 연간 최대 246조원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갈등을 해소하고 국민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재정 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다.
2015년 국가보훈처의 나라사랑교육 예산은 26억원 수준에 머물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관심과 재정지원이 시급하다.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도 복지와 문화 예산에 비해 호국정신 함양 예산은 미미한 수준이다.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또한 합심해 지역주민들의 호국정신 함양을 위한 예산 확보에 힘써야 할 때이다.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호국정신 함양 정책 추진을 위해 충분한 예산이 뒷받침 되었을 때, 평화통일 기반 구축과 더불어 더 큰 대한민국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의 과거-현재-미래를 아우르는 국가보훈으로 국가유공자의 명예로운 삶을 보장해 그 숭고한 희생과 공헌에 보답하고 국민의 호국정신과 애국심 함양으로 오늘날의 갈등과 분열을 해소해 한반도의 희망찬 미래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