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전북지역 27개 시민사회단체 및 정당으로 구성된 전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전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새만금호에 해수를 유통시키는 방식으로 새만금 개발방식으로 바꿔야 한다고 정부와 전라북도에 촉구했다.(사진제공=전북환경운동연합) |
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전북지역 27개 사회단체 및 정당으로 구성된 ‘전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19일 전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와 전라북도가 새만금 해수유통을 담은 개발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막대한 비용을 쏟아 붓고도 새만금의 수질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기 때문에 해수를 유통하는 방식으로 친환경적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공사를 착공한지 24년 동안 새만금은 농지 조성에서 복합 산업용지로, 명품 수변 복합도시로 여러 차례 옷을 갈아입었는데, 황금알을 낳는다던 새만금은 여전히 전북도민의 생활에 변화를 주지 못하고 있고, 오히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의 개발이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고 밝혔다.
이어 “오는 26일 새만금 수질 중간평가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새만금호의 수질은 COD(화학적산소요구량)이 5급수를 넘나들고, 일부 구간은 6급수에 이르는 심각한 상태”라면서 “해수유통이 새만금 수질관리의 현실적 대안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또 “새만금 조력발전으로 해수유통량을 늘리고 풍력 발전을 확대하면 지역발전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며, 이미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등 간척사업 선진국은 해수유통으로 수질관리를 하면서 해양 관광 배후도시로 활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특히 “새만금 수질 중간평가를 다룰 4기 새만금위원회 회의를 앞두고 새만금호의 해수유통을 통한 환경 친화적 개발에 나서 줄 것을 전라북도에 요청하며, 이에 대한 연구 용역을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