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3일 화요일
뉴스홈 칼럼(기고)
[기고]유라시아에서 들려주는 사랑과 모험, 평화이야기 7-간호사는 조국을 치료했고 광부는 희망을 캤다

[대전세종충남=아시아뉴스통신] 홍근진기자 송고시간 2017-09-13 09:02

남북통일 기원 유라시아대륙 횡단 평화마라토너 강명구
본지는 지난 1일 네델란드 헤이그를 출발해 1년 2개월 동안 16개국 1만 6000km 유라시아대륙을 횡단하고 중국과 북한을 거쳐 휴전선을 넘어 대한민국 품으로 돌아올 예정인 통일기원 평화마라토너 강명구씨(60)의 기고문을 시리즈로 연재하고 있다.
 
독일 에센 한인회관에서 교포들의 동해 독도 세미나에 참석해 뜻깊은 만남을 가졌다.(사진=강명구)

나는 유라시아 길을 달리면서 진정한 동서 문명의 원형을 찾아서 우리들 조상의 삶의 모습과 지혜를 만나러 길을 나섰다. 이 길은 인류의 숨구멍 같은 길이다. 이 길을 통해 인류의 문명이 숨통을 틔었고 교류를 하며 숨을 쉬었고, 종교가 넘나들며 문화와 인종이 교류를 하였다. 이 길이 막혔던 중세는 암흑기를 맞았고 이 길에 유라시아 철도가 놓아지고 고속도로가 깔리고 파이프라인이 연결되는 날 인류는 더 평등해지고 더 평화롭고 더 풍요로워지며 더 자유로워질 것이다.

수천 년 동안 인류는 끊임없이 이동하며 서로를 부비며 섞으면서 좀 더 나은 삶을 찾아 이동해왔다. 길을 나서는 것은 길 위에는 언제나 소통과 나눔을 통해서 꽉 막힌 체증 같은 것을 풀어주는 뜨거운 기운이 넘치기 때문이다. ‘실크로드’, ‘비단길’, 이 아름다운 이름의 길은 내가 지금 그렇듯이 비단을 즈려 밟고 가는 낭만적인 길이 아니었다. 온갖 위험을 무릅쓰고 비단을 팔아 생계를 꾸려가야 하는 절대 절명의 길이었다.
 
독일 에센 한인회관에서 교포들의 동해 독도 세미나에 참석해 뜻깊은 만남을 가졌다.(사진=강명구)

언제나 보다 나은 곳을 찾아 새로운 곳으로 이동하는 것은 인류의 오랜 본능인 것 같다.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더 풍요롭고 안정된 생활을 위하여 목숨을 건 이주를 계속하고 있다. 우리는 이들을 난민이라고 부르지만 옛날엔 그렇게 부르지 않았다. 약 6백만 년 전 초기 인류는 아프리카 사바나에서 살다가 대략 4만~5만 년 전에 세계 각지로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인류는 태어난 곳을 떠나 유럽으로 아시아로 이주를 하기 시작했다. 1만 년 전에는 남극대륙을 제외한 지구의 전역에 인간들이 터전을 잡고 살기 시작했다.

나는 오늘 우리 한인 이민 역사의 큰 획을 그은 독일 교포들과의 뜻 깊은 만남의 시간을 가졌다. 그들은 반세기 전 간호사로 광부로 독일에 와서 한인으로 뿌리를 내리고 자랑스럽게 살아가고 있다. 지금 독일에는 약 5만의 교포가 산다고 한다. 지금은 프랑크푸르트에 가장 많이 살지만 내가 지나온 이곳 에센과 도르트문트, 뒤스부르크, 겔젠키르헨, 오버하우젠은 우리 광부들의 애환이 서린 곳이다.
 
독일 교포들이 독도 세미나를 열고 있는 에센의 파독광부기념회관 한인문화회관 모습.(사진=강명구)

엊그제 박선유 제독 한인회장님에게서 연락이 왔다. 9일 토요일에 에센 한인회관에서 동해, 독도 세미나가 있어서 독일 전역의 한인 인사들이 모이니 같이 가서 인사하는 것이 어떠냐는 것이다. 나는 유라시아횡단 평화마라톤을 설명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받아들였다. 도르트문트에서 조스트로 하루 더 이동해왔고 그곳의 숙소로 12시 조금 지나서 와서 함께 출발했다. 아침에 프랑크푸르트에서 사모님과 축구협회 회장과 번갈아 운전을 하고 온 것이다.

에센으로 이동하는 중에 여러 가지 궁금한 것을 물어보았다. 박회장님은 1973년에 오시고 사모님은 1965년에 독일에 오셨다고 한다. 더 자세한 것은 물어보지 않았다. 가는 동안 한국에서 카카오톡 전화가 왔다. 독일 처음 왔을 때 부모한테 안부전화 한번하면 가족들이 신기해서 이 사람 저 사람 바꿔가며 전화기를 돌리면 전화비가 많이 나와 고국에 송금할 돈이 줄어들어 걱정했던 이야기가 화제가 되었다.
 
동해 독도 세미나가 있어 방문한 독일 에센 한인회관에 나를 환영하는 포스터가 붙어 있다.(사진=강명구)

회관에 들어서자 ‘강명구 평화마라토너 회관 방문을 환영합니다.’라는 포스터가 붙어 있어 기분이 좋아졌다. 점심은 간단한 육개장에 김치반찬이었지만 보름 만에 먹는 쌀밥이라 꿀맛처럼 달았다. 사실 꿀맛이 문제가 아니라 한식을 못 먹고 양식으로만 때우니 대변에 문제가 생겨서 하루에도 몇 번씩 화장실 다니느라 번거롭다.

비가 하루 종일 내리는 날인데도 동해, 독도 세미나는 전국각지에서 150명 정도 모이는 성황을 이루었다. 이렇게 오래 외국에 살면서도 조국을 생각하는 마음에 감동을 받았다. 이런 소중한 마음들을 잘 엮으면 큰 힘이 될 텐데! 과연 나의 달리기가 그런 역할에 조금이라도 밑거름이 될 수 있을까.
 
동해 독도 세미나가 있어 방문한 독일 에센 한인회관에서 보름만에 먹은 쌀밥과 육개장.(사진=강명구)

1960년대 초 독일은 라인강의 기적을 일구었고 한국은 아직도 헐벗고 가난하여 보릿고개를 넘기기 힘들었다. 실업자는 넘쳐났지만 일자리는 없었다. 가난은 숙명처럼 모든 것을 지배하였다. 돈을 버는 일이라면 무슨 짓이라도 하여야 할 당시 신문에 난 구인광고가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막장이라 불리는 탄광의 구인광고였다. 그런데 장소가 ‘라인강의 기적’을 일구어낸 독일이었다. 500명 정원에 4만6000명이 몰려들었다. 태반은 대학졸업자였다.

1963년 광부 247명이 처음 독일에 도착하였다. 모두 3년간 취업 계약을 맺었는데, 1977년까지 8395명의 광부가 독일 석탄 광산에서 일했다. 1965년부터는 한국인 간호사의 독일 취업이 허용되어 1976년까지 모두 1만 371명이 독일로 떠났다. 역시 3년 계약이었다.
 
독일 에센 한인회관 재독동포 역사기록실에 붙어 있는 1963년 당시 파독 광부들의 사진.(사진=강명구)

광부와 간호사들이 해야 하는 일은 말로하기 힘들 정도였다. 광부들은 지하 1000m의 막장에서 힘든 노동에 시달렸으며, 간호사들도 처음에는 시체를 닦는 일 등 병원애서 가장 힘들고 꺼리는 일을 도맡았다. 이들의 월급은 한국에 송금되어 가족의 생계비와 학비로 쓰였다. 국가적으로는 이들이 먹지 않고 쓰지 않고 송금하는 돈이 근대화의 초석이 되었다. 

회관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에 걸려있는 ‘우리들은 코리안 엔젤이었습니다’란 시 한 수가 눈길을 끈다.
 
에센 한인회관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에 걸려있는 시 ‘우리들은 코리안 엔젤이었습니다’.(사진=강명구)

“그 날은 이역만리 독일로 가는 날/ 김포공항의 안개가 걷히기를 기다리며/ 어머니의 손을 꼬옥 잡고 차마 놓을 수 없었던/ 생이별의 눈물은 꽃으로 갓 핀 우리들에게/ 살을 에는 겨울바람보다 더 매서웠습니다.

반세기 전 가난에 아픈 조국을 치료하기 위해/ 이역만리 독일을 향했던 우리들의 소망이/ 대한민국 경제의 마중물로 한강의 기적을 만들었다는/ 자랑스런 명예와 긍지로 살아가는 우리들/ 우리들은 영원한 코리안 엔젤입니다.”
 
재독한인간호사협회 윤행자 회장님(왼쪽)이 필요할 때 쓰라고 비상약품을 챙겨 주셨다.(사진=강명구)

그 코리안 엔젤 재독한인간호사협회 윤행자 회장님이 필요할 때 쓰라고 비상약품을 챙겨왔다. 월남전에 참전했다가 귀국하여 광부로 다시 독일에 왔다는 분은 내게 꼭 완주를 하라며 손을 꽉 잡아주셨다.

간호사는 가난한 조국을 치료했고 광부는 희망을 캤다.
 
※사외 기고는 본사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아시아뉴스통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제보전화 : 1644-3331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의견쓰기

댓글 작성을 위해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 시 주민번호를 요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