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뉴스홈 칼럼(기고)
유라시아에서 들려주는 사랑과 모험, 평화이야기-78

[대전세종충남=아시아뉴스통신] 홍근진기자 송고시간 2018-04-23 08:42

[기고]우즈벡 8000km 돌파 기념행사 도와준 '세 남자'
남북통일 기원 유라시아대륙 횡단 평화마라토너 강명구
본지는 지난해 9월 1일 네델란드 헤이그를 출발해 1년2개월 동안 16개국 1만6000km 유라시아대륙을 횡단하고 중국과 북한을 거쳐 휴전선을 넘어 대한민국 품으로 돌아올 예정인 통일기원 평화마라토너 강명구씨의 기고문을 시리즈로 연재하고 있다.[편집자주]
    
카자흐스탄의 끝없이 펼쳐진 푸른 초원서 만난 목동들과 사진을 찍고 있는 강명구씨.(사진=김현숙)

나는 끝없이 펼쳐진 푸른 초원을 보면 가슴이 설레인다. 나는 언제나 사랑에 목말라하고 사랑에 마음 졸여할 줄 안다.

푸른 풀들이 서로 엉켜 바람에 대지 위를 뒹굴 때면 나도 사랑하는 이와 얼싸안고 환호성을 지르며 푸른 초원을 맘껏 달리고 싶다.

뭉게구름 떠가는 푸른 하늘 저 멀리 아직도 녹지 않은 설산이 아득하게 보이니 뭔가 꽉 차오르는 충만감에 희열까지 느껴진다.

카자흐스탄의 초원을 달리며 나는 가끔 그윽이 풍겨오는 남자의 향기에 정신 못 차린 때도 있었다는 것은 깨닫는다.

바로 어제, 그제 우즈베키스탄의 타쉬켄트에서 그랬다.
 
분에 넘치는 교민들과 고려인, 그리고 한국어를 배우는 현지인들의 환영행사의 여운을 안고 어제 달콤한 휴식을 취했다.

그리고 아침에 다시 서울공원에서 출발할 때는 한국에서 오신 응원단끼리 간단하게 길배웅 행사만 하고 출발하려했다.

그러나 가이랏 전 교육부 장관이 다시 찾아와서 우즈베키스탄 인들의 명예의 상징인 족장의 전통의상을 입혀주며 내게 다시 ‘영웅’이라고 호칭하며 나머지 일정도 무사히 마치기를 축원하여 주었다.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서 열린 평화문화제에서 태극기를 든 가이랏 전 교육부 장관.(사진=정연진)

가이랏 전 교육부 장관은 송인엽 교수님이 2002년도 우즈베키스탄에서 KOICA 소장으로 재직 당시 우즈베키스탄 국립 세계언어 대학교 총장으로 재직했다.

송 교수님과 긴밀히 협력하여 KOICA의 지원으로 동대학의 한국어과를 개설하여 최고인기 학과로 발전시키고 컴퓨터교육을 강화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고 한다.

또한 그의 강력한 요청으로 송교수님은 세계언어 대학에서 한국학을 한 학기 강의를 하기도 하였다.

그러한 점을 높이 평가하여  세계언어 대학은 2003년도에 송 교수님에게 명예문학박사를 수여했다.

또 그의 도움으로 우즈벡TV에 한국어교육을 방영하기도 하였다는 것이다.
 
그렇게 맺어진 인연은 송 교수님이 우즈베키스탄을 떠난 후 그가 교육부 장관에 임명되고도 계속 이어졌다.

그는 한국이 자원과 자본이 부족한데도 놀라운 경제 문화적 발전을 이룩한 것이 좋은 교육 덕분이라는 것에 주목했다.

우즈베키스탄에 한국식 교육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를 다섯 번이나 방문하기도 하였다.

그는 내가 타쉬켄트로 들어오던 날 새벽부터 반나절 나와 동반주는 물론 평화행진, 환영 대동한마당행사, 평화포럼, 길마중등 2박 3일 동안 우리 평화행사에 모두 참여하여주는 우정을 과시했다.

송 교수님과 나를 3개 대학 특강을 주선하여 학생들에게 한국의 발전 소식과 나의 평화마라톤 소식을 전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주었다.

학생들은 정말 눈이 동그랗게 뜨고 귀를 쫑긋 세우며 열심히 들어주었다.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행사를 도와준 세남자 허선행씨, 가이랏씨, 송인엽 교수.(사진=송인엽)

허선행 세종학당 교장선생님은 대학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군복무를 마치고 아직도 약관의 나이로 한글 해외보급에 신명을 바치겠다는 뜻을 가졌다.

1992년에 우즈베키스탄에 건너와 한글을 지금까지 보급하여 지금은 한국어 학당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도 크고 최고의 한글학교로 발전시켰다.

2002년에 송 교수님이 우즈베키스탄에 부임해 갔을 때 KOICA의 지원을 요청했으나 KOICA 업무범위에 교민지원은 제외되어 있었다.

공적인 지원은 못하고, 사적으로 작은 도움만 주어서 항상 마음에 미안함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지금 허선행씨는 평통지부장으로 조국의 평화통일정책에 기여하고 있다.

2011년부터는 문체부로부터로부터 연 5000만 원씩을 지원 받아, 세종학당을 교사 13명, 학생 550명을 가르치는 기관으로 발전시켰다.

그리고 송인엽 교수님은 유라시아대륙횡단 평화마라톤의 최고의 후원자가 되어서 1만6000km의 중간지점인 8000km 돌파 기념행사를 준비하러 이곳으로 날아왔다.

멋진 남자들의 멋진 우정을 바탕으로 행사를 성대하게 치루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타슈켄트에서 카자흐스탄 국경까지 28km를 동행한 김종근씨, 임남희씨, 송인엽 교수.(사진=김현숙)

송 교수님과 나는 작년 8월 날 좋은 주말 오후에 뚝섬유원지 걷기 모임에서 처음 만났다.

그 때 내 계획을 이야기하고 네덜란드 헤이그의 이준열사 기념관에서 첫 출발한다고 하니 처음 만난 내게 이준열사에 대해서 설명을 해서 사실 첫인상이 잘난 체 많이 하는 사람으로 남아있었다.

그런데 몇 번의 만남이 이어질수록 그 잘난 체 많이 하는 사람이란 인상은 지워지지 않았지만 그것을 상쇄하고도 남을 묵은지 같은 깊은 맛도 있는 사람으로 내게 다가왔다.
 
마라톤은 김치와 같다. 땀으로 절이고 매콤한 열정으로 양념을 하고 은근과 끈기로 발효가 되어야 제 맛이 난다.

이렇게 오랫동안 여행을 할 때 제일 생각나는 것이 김치이다. 우정도 그런 것이다.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절이고 매콤한 공감대로 양념을 하고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경하는 마음으로 어느 정도 시간이 흘러야 발효가 되어 제 맛이 난다.
 
서울공원을 출발하여 카자흐스탄 국경까지 가는 길은 송인엽 교수, 김종근씨, 또 파리에서 날아온 임남희씨가 28km나 되는 길을 함께 뛰어주었다.

28km란 거리는 훈련되지 않은 사람은 뛰기 힘든 거리인데 다시 시작하는 나의 길배웅으로 끝까지 함께하여 주어서 얼마나 고마운지 모른다.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국경은 다른 국경보다 통과하는데 비교적 수월했지만 그래도 한나절을 이곳에서 허비하고 말았다.

국경을 넘으니 눈에 보이는 풍광이 지금까지와는 확연히 달랐다.
 
카자흐스탄 초원을 달리다 승합차에서 내린 젊은이들이 몰려와 기념사진을 찍었다.(사진=김현숙)

푸른 초원의 들너울이 바다처럼 넘실대고 있었다.

넘실대지 대지의 바다를 물고기가 유영하듯 달리니 내 마음도 넘실넘실 파도를 친다.

이 드넓은 바다 위에 풀을 뜯는 양떼들 소떼, 말떼가 물고기떼 같이 한가롭다.

가축들이 유유히 먹이를 찾아 이동하는 목가적인 풍경을 보면 늘 마음에 새록새록 추억이 떠오르는 것 같다.

돌아보면 난 그런 풍경아래 자라본 적이 없는데도 말이다.

그것은 아마도 내 몸 한구석에 유목민의 유전자가 남아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저 멀리 보이는 설산을 가슴으로 호흡하고 있을 때 저 앞에 승합차 한 대가 서더니 열댓 명이 우르르 내려서 플랭카드를 들고 서있고 한 사람이 내게로 뛰어온다.

나는 동물적인 감각으로 금방 분위기 파악을 하고 괴성을 지르며 그들에게 다가갔고 그들은 열렬하게 나를 맞아주었다.

잠시 내 소개를 하려고 하자 이미 인터넷을 통해서 알고 있다고 한다.

아마 강의를 들었던 친구들이 SNS를 통해서 내 소식을 알린 모양이다.
 
카자흐스탄 MAMBETULY로 가는 길에 한 남자가 주져 앉을것 같은 노새를 타고 있다.(사진=김현숙)

남자의 향기는 한 여자에게 바치는 지고지순하고 헌신적인 사랑을 할 때 나는 향기일 수도 있다.

그러나 진정한 남자의 향기는 푸른 초원을 달리는 말에서 조금은 퀘퀘하게 나는 역동적인 냄새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후각적인 냄새와는 다른 것이다. 남자에게서는 마음으로 통하는 향기가 날 때가 있다. 믿음직한 냄새! 신뢰가 가는 냄새가 있다.

금방 식상하지 않고 아련하게 취해가는 초원의 야생화 향기 같은 것 말이다.

그래서 남자의 향기는 살만큼 살아서 세월이 덧입혀져야 제 향이 나는지도 모른다. 
 
지금은 소프트웨어의 시대이고 가장 소프트웨어적인 것은 사람이다.

사람 중에서도 나, 내가 가장 나다울 때 더 넓고 큰 인연을 만나 조화를 이루며 발전을 하는 것이다.

나는 이렇게 초원을 달리고, 대지를 달릴 때 가장 나다운 것을 느낀다.

그러니 초원을 달리면서 나는 비로소 물고기가 물 만난 듯이 신명나게 달리고 있다.

모든 것을 훌훌 벗어버리고 내가 좋아하는 것, 내 마음이 가는 곳으로 나왔더니 내가 이렇게 빛나고 있다.

지금껏 나는 네가 누구인지 모르고 혼란스럽게 살아왔다는 생각이 든다.

이 세상에서 가장 큰 불행은 내가 누구인지 모르는 데서 비롯된다.

자신의 맛과 색깔 그리고 향기를 갖는 것은 타인을 발견하는 것과 다름이 아니다.

그렇게 자신과 타자가 서로의 향기에 취해서 소통을 할 때 사회는 더욱 건강하고 행복해진다.
 
※사외 기고는 본사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아시아뉴스통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제보전화 : 1644-3331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의견쓰기

댓글 작성을 위해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 시 주민번호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포토뉴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