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가 3일 간부회의에서 ASF를 차단하는 최고수준의 방역을 지시했다.(사진=국무총리실) |
이낙연 국무총리가 3일 총리실 간부회의에서 북한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관련 남하 차단을 위해 최고수준의 방역태세를 관련 부처에 지시했다.
총리실에 따르면 이 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접경지역과 공항 항만 양돈농가 등 방역에 조금의 빈틈이라도 있어서는 안된다"며 이같이 지시했다.
ASF는 지난해 8월 중국에서 처음 발생해 9개월 만에 중국 전역과 베트남 캄버디아 홍콩 몽골 등에 퍼졌으며 북한은 지난달 30일 자강도에서 ASF가 발생했다고 세계동물보건기구에 공식 보고했다.
이날 이 총리는 농림축산식품부에 "비상대책반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들과의 영상점검회의를 매일 열어 현장에서 필요한 조치들이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해달라"고 주문했다.
특히 이 총리는 "거점소독시설과 통제초소 설치 및 사육농가 울타리 설치를 최대한 신속히 마무리하라"며 "가상 방역훈련(CPX)을 서둘러 실시해 방역에 부족한 점을 점검하라"고 덧붙였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1일 접경지역인 강화도 양돈농장과 해병대 교동부대를 방문했다.(사진=국무총리실) |
그러면서 현재 10개 시군에 설정된 특별관리지역을 확대할 필요는 없는지 검토하고 이밖에 전국 6000여 양돈농가에 대한 일제점검을 실시하며 방역 및 신고요령을 교육하고 홍보할 것을 강조했다.
또 통일부에는 북한의 ASF 방역과 확산 방지를 위한 협력방안을 북한과 적극 논의해 달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국민들에게는 "ASF를 차단하려면 내외국인의 협조가 매우 중요하다"며 "특히 해외에서 오실 때는 불법축산물을 절대로 반입하지 말아야 한다"고 협조를 당부했다.
한편 이 총리는 지난 1일 강화도 접경지역 한강과 임진강 하구를 찾아 방역상태를 점검했으며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부처는 접경 10개 시군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관련 조치들을 시행했다.
정부는 접경지역 양돈농가 347호를 일제 점검한 결과 다행히 현재까지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