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뉴스홈 칼럼(기고)
유라시아에서 들려주는 사랑과 모험 평화이야기-108

[대전세종충남=아시아뉴스통신] 홍근진기자 송고시간 2018-08-09 09:20

[기고]농부의 억척스러움과 완주를 향한 본능적 몸부림
남북통일 기원 유라시아대륙 횡단 평화마라토너 강명구
본지는 지난해 9월 1일 네델란드 헤이그를 출발해 1년2개월 동안 16개국 1만6000km 유라시아대륙을 횡단하고 중국과 북한을 거쳐 휴전선을 넘어 대한민국 품으로 돌아올 예정인 통일기원 평화마라토너 강명구씨의 기고문을 시리즈로 연재하고 있다.[편집자주]
 
닝샤후이족자치구(寧夏回族自治區) 중웨이에 있는 풍차 모양의 상징물 옆을 달리는 필자.(사진=장용)

이제 오아시스 마을이 아니라 황허를 따라 생겨난 도시와 마을을 지난다.

중국 닝샤후이족자치구(寧夏回族自治區) '중웨이'는 깨끗하고 아름답고 자연친화적으로 개발된 조용한 도시이다.

이곳을 달릴 때 서울의 청계천처럼 도시 한가운데 길게 뻗어있는 호숫가의 버들가지가 얼굴을 기분 좋게 때린다.

주말에 산책 나온 사람들의 표정이 한가롭다. 새색시의 얼굴만큼 크게 피어나 부끄러운 듯 고개를 돌린 연꽃이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초로의 남자가 한구석에 앉아 중국의 퉁소의 연주 소리가 애잔하여 내 발길을 잡아 끈다.

8월 초의 벼는 고개를 곧추 세우고 한낮의 태양과 정분을 나누며 제 안의 사랑의 씨알을 익혀간다.

끝없이 펼쳐진 옥수수 밭에 옥수수는 제법 속이 꽉 찼고, 해바라기 밭의 해바라기들은 서로 질투도 하지 않고 해만 바라보고 서있다.

벌써 밀밭은 수확이 끝나 텅 비었다. 울밑에선 대추나무는 다닥다닥 맺힌 대추열매의 무게가 힘겨워 가지가 부러질 지경이다.

콩 밭에는 콩을 수확하는 여인들의 저고리가 땀에 젖는다. 수로에 물고랑을 돌리려 삽을 들고 전기 삼륜차를 타고 지나가는 두 젊은 부부의 모습 또한 정겹다.
 
중국 닝샤후이족자치구(寧夏回族自治區) 중웨이 공원서 퉁소를 불고 있는 초로의 남자.(사진=강명구)

하! 농부들의 땀 냄새가 밴 흙냄새가 매혹적이다. 척박한 땅을 기반으로 끈질기게 살아내는 중국인의 모습을 본다.

들판의 곡식은 농부들의 발자국 소리를 들으면서 자라고 무르익는다고 한다. 이 지역은 황하가 옆으로 흐르지만 아직은 반사막의 기후이다.

곡식이 무르익어가는 이곳의 땅은 중국인들의 끈기와 기질, 의지를 말해주고 있다.

땅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 하나하나, 땀방울 하나하나가 중국이라는 역사 깊고 거대한 나라의 근간이 되는 것이다.

언뜻 보기에는 무뚝뚝한 이곳의 사람들의 억척스러움에는 예술적이기까지 한 아름다움이 깃들어있다.

아름다움이란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서 보이는 특별한 것이다.
 
중국 닝샤후이족자치구(寧夏回族自治區) 중웨이 한 공원에서 호수를 배경으로 기념촬영.(사진=장용)

그 모습을 가장 아름답게 표현한 문학작품이 펄 벅의 대지(大地)가 아닐까 생각한다. 정주민들의 삶이란 흙에 매달릴 수밖에 없었다. 

평생 땀 흘려 농사 짓는 일 말고는 관심도 없고 오로지 땅을 갈아 밀과 벼를 심어 추수하는 일 외에는 모르는 왕릉의 우직하며 억척스런 모습이 이곳을 달리면서 겹쳐진다.

펄 벅의 대지는 중국의 어느 북부 지역의 시골에서 빈농의 자식으로 태어난 왕 룽에게 시선을 고정시키게 만드는 마력이 있다.

소설은 빈농 왕 룽이 황 부잣집 하녀 오란과 결혼식을 올리는 장면부터 시작한다.

왕 룽과 그의 아내 오란, 그리고 그들로부터 비롯되는 한 가족의 역사는 어느 왕조의 역사보다도 파란만장한 삶의 흥망과 자연재해, 죽음, 사랑, 질병, 전쟁, 혁명의 서사시를 펼쳐낸다.

왕릉에게 있어 땅은 어떤 가치보다 우선한다. 기근이 닥쳐 남쪽으로 내려갈 때도 끼니는 거를지언정 땅을 팔 생각은 절대 하지 않는다.

땅은 그의 모든 것이며 왕 룽 그 자신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는 땅을 가졌다는 자존심이 있었고, 땅으로 인해 굶주리기도 하고 부유해지기도 한다. 
 
중국 닝샤후이족자치구(寧夏回族自治區) 중웨이를 유유히 흐르는 황하와 전통 건축물들.(사진=장용)

그는 모든 것을 땅에 바쳤고 땅은 그의 행복과 기쁨의 원천이 되었다.

왕 룽은 어려운 고비를 만날 때마다 신앙처럼 자신에게는 땅이 있다는 것을 되 뇌이며 용기와 희망을 얻곤 한다.

왕릉은 죽음을 맞이하는 자리에서도 땅이 곧 생명이라는 진리를 외친다.

"우리는 땅에서 태어났어! 그리고 다시 땅으로 돌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땅을 갖고 있으면 살아갈 수 있다. 땅은 누구에게도 빼앗기지 않는다."

땅에 모든 것을 바쳐 땅에서 모든 것을 얻고 결국 땅 앞에서 다시 늙어가고 쇠락해가는 농부들의 삶이다.

땅에 대한 인간의 무한한 집착과 집념, 끈기 같은 것을 그대로 보여준다.
 
중국 닝샤후이족자치구(寧夏回族自治區) 중웨이에 있는 중학교 정문과 학교 건물 모습.(사진=장용)

중국의 농부의 모습에서 예술적이 영감을 얻어 노벨 문학상까지 타게 된 펄 벅이 한국에 와서 한국의 농부에게서 깊은 철학적 깨달음을 얻고 간다.

어느 황혼 무렵, 일을 마치고 소달구지를 끌고 가는 농부가 볏단을 반은 소달구지에 싣고 반은 자신이 지게에 지고 가는 모습이었다.

그녀가 보기에 이 모습은 아주 이상하고 바보스러운 장면이었다. 소달구지에 볏단을 다 싣고 자신도 달구지에 올라타고 가면 그만인 것을 말이다.

펄 벅이 농부에게 다가가 물었다. "왜 소달구지를 타지 않고 힘들게 갑니까?" 농부의 답이 참으로 철학적이었다.

“에이, 어떻게 달구지에 타고 갑니까? 저도 하루 종일 일했지만, 소도 하루 종일 열심히 일했는데요. 그러니 짐도 나누어서 지고 가야지요.”

그녀는 이 모습을 세상에서 본 가장 아름다운 풍경이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오늘 내가 본 가장 아름다운 장면은 밭두렁 버드나무 그늘아래에서 두 부부가 점심 도시락을 함께 나누는 모습이었다. 아름다움은 도처에 있다.
 
생일날 중웨이 근처를 달리고 있는 필자. 이날 이질 설사에 걸려 밤새도록 고생을 했다.(사진=장용)

세상의 이치가 다 그렇듯이 대지 또한 인간에게 언제나 땀 흘린 만큼 소출을 내어주지는 않는다.

홍수와 가뭄 메뚜기 떼의 습격 같은 해충의 피해 등 천재지변이 시시때때로 몰아치지만 그런 하늘의 심술을 인내로 감내하고 나면 다시 대지는 풍성한 열매를 내어준다.

농부는 언제나 최선을 다하면서 부족함을 자각하며 겸손해하며 하늘을 경외하고 늘 감사한 생활을 한다.

농부의 마음과 깊은 교감을 나눈 내게 폭염과 고열 따위는 이제 큰 장애가 못 되었다.

사실 심각한 고려 없이 뛰어든 길인지도 모르지만, 하고 싶은 건 못 참는 성격이 이 길로 나를 내몰았지만 일단 길 위에 뛰어든 이상 나는 살아서 완주를 해야 한다는 본능적 몸부림이 나를 야생의 표범처럼 강하게 만들어 가고 있다.

이질 설사로 밤새도록 물 설사로 다 쏟아내고 아침 점심 만두 한 개 계란 프라이로 때우고 저녁 한 끼 제대로 먹고도 다음날 42km를 거뜬히 뛰었다.
 
※사외 기고는 본사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아시아뉴스통신.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제보전화 : 1644-3331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의견쓰기

댓글 작성을 위해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 시 주민번호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실시간 급상승 정보

포토뉴스

more